■ 진행 : 노종면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철진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내일 모레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립니다. 지난달 금리를 낮춘 데 이어서 추가로 인하를 할지 아니면 동결로 숨을 고를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어떤 결정이 나오든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춰서 돈을 푸는 이른바 통화완화 정책은 세계적인 흐름이라고 합니다. 이 때문에 초저금리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초저금리, 은행 예금만으로는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는 뜻입니다. 만약 지금보다 금리가 더 떨어져서 실제로 초저금리 시대가 된다면 어떤 변화가 찾아올까요? <br /> <br />누가 웃고 누가 울게 될지, 쉬워야 경제다. 더 쉬운 경제에서 알아보겠습니다. 정철진 경제평론가 나오셨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초저금리. 그냥 저금리도 아니고 초저금리예요. 무슨 뜻입니까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일단 우리가 금리가 높다, 낮다라는 표현할 때 상대적인 표현을 많이 쓰지 않습니까. 가령 연 4.5%보다는 연 2.5%가 더 낮은 금리니까요. <br /> <br />고금리, 저금리라는 표현이 될 텐데 지금은 초저금리 시대. 그러니까 인플레이션보다 더 낮은 금리 상황으로 치닫는 이런 상황이 다가왔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지금 거의 한 기준금리가 연 1. 75%인데 현재, 이건 기준금리고요. <br /> <br />시중 금리를 대변한다는 우리나라의 국고채 10년물 같은 경우에는 지금 연 한 1.18%, 이 정도까지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이제 일 자만 사라지게 되면 앞이 0점으로 가게 되면 정말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했던 그런 시대가 오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관련해서 요즘 금리 절벽이라는 표현도 많이 써요. 절벽이 굉장히 가파르잖아요. 그런데 연초 이후로 지금 시중금리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면 이게 정말 절벽처럼 금리가 지금 떨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헷갈려서는 안 되는 게 우리가 기준금리, 정책금리 이런 표현을 쓰는 건 한국은행이 매달 결정하는 것이요. <br /> <br />연 지금 1.75%고요. 실은 이것과 별개로 시중 금리는 따로 움직이기도 합니다. 물론 이게 기준은 되지만. <br /> <br /> <br />기준금리보다는 조금 높잖아요.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그런데 실은 방향성 같은 경우에는 향후 금리 인하가 더 확실시 된다라고 하면 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82815351545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